Yong Sook
Kim-Lambert

김용숙

Yong Sook Kim-Lambert 김용숙 Yong Sook Kim-Lambert 김용숙 Yong Sook Kim-Lambert 김용숙

Yong Sook
Kim-Lambert

김용숙

Yong Sook Kim-Lambert 김용숙 Yong Sook Kim-Lambert 김용숙 Yong Sook Kim-Lambert 김용숙
  • Home
  • Abstract
    • Empreintes
    • CALQ 2022-2023
    • Oeuvres sur papier
    • Grant format
  • Abstract Figure
    • Oeuvres Sur toiles
    • Opus
  • Print
    • CLAQ 2022-2023
    • Memory
    • Sonata
  • About
    • CV
    • Bio
    • Statement
  • Contact
  • Press
    • Radio-Canada
    • La Tribune
    • Migration, Musée Beaulne
    • Korean Times Daily
    • Gallery SinSang
    • SAMA show catalog
    • L'aquarelliste
    • Bojagi and Me
    • East Meets West
    • Korea Daily - 미주 중앙 일보

Gallery SinSang

삶 그 이야기 - 세월은 안다

김용숙 귀국 개인전


- 김용숙 초대전을 보고  

50여년 인생, 우리나라에서 절반 외국에서 절반을 산 것 같다.

작품에 나타난 인물을 보면 하나 같이 얼굴을 뚜렷하게 그리지 않았는데 한국인이라고도, 미국인이라고도 확신할 수 없는 자기의 정체성에 대한 혼란을 얼굴을 자세하게 그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낸 것 같다.

사람 몸을 모두 회색으로 그린 것은 우리나라에 오면 미국에서 오래 살다 온 이방인으로 간주되고 미국가면 한국에서 온 이방인으로 간주되는 흑과 백 어느 한 쪽에 확실하게 속하지 못하고 회색분자로 대접 받는 상황을 표현한 것 같다.


이것은 자기 자신만의 자화상을 넘어 숨 가쁘게 변화하는 현대사회에 속에서 무엇인지도 모른 체 쫏고 쫒기며 빠르게 개성을 잃고 자기 얼굴이 없는 거나 마찬가지인 똑같은 얼굴을 갖게 되었고  머릿속에 든 생각까지도 자기 자신도 모르는 사이에 남아 조작하여 심어 준 생각을 자기 자신의 생각 이라고 착각하며 정체성을 잃어버린고 무미건조하게 살아가는 현대인들의 자화상이기도 하다.


외국인 남편과 결혼하여 집안에서조차 외국생활을 하고 있으니 우리 말로 뿌리에 대한 그리움을 속 시원하게 나눌 누가 있겠는가. 

한국에서 온 유학생들이 외로워 할까봐 많이 껴안아 준다지만 사실은 미국 시골에서 오래 살면서 자기 작은 몸에 단단히 쌓인 자신의 외로움을 꼭 껴안아 주는 것이 아닐까.


낯선 곳에 가서 살면서 적응한 뒤 그 전에 살던 곳이 그리워 찾아오면 그 살던 곳이 다시 낯선 곳이 되어 버린 삶 삶의 가치에 대해 생각해 본다.

무엇이라 이름 붙일 수 없는 그 외로움, 그 서러움, 그 그리움 그대가 흘린 눈물의 뜻을 세월은 안다.


2104.01.03 갤러리 신상  

작가 신재선

      Copyright © 2020 Yong Sook Kim-Lambert - All Rights Reserved.

  • Oeuvres sur papier
  • Opus

Powered by